우선 릿지 회귀에 필요성을 이해하기 위해..일반적인 회귀분석의 목적함수에서 최적의 회귀계수를 찾는 과정을 수학적으로 접근해 봄으로써 릿지 회귀의 필요성을 확인해 보자. 그래서 일반적인 회귀 분석의 목적함수는 뭐였는지아래의 오차 제곱합이었음 이 목적함수를 최소화하는 모수(β)를 찾는 것이 목적 최적의 모수( β )를 찾기 위해 목적함수를 모수( β )에 대해 미분하여 0이 되는 부분을 찾으면 아래와 같고 여기서 (β)에 대해 정리하면 아래와 같이 최적의 모수를 찾을 수 있었다.. 중요한 건 이러한 최적의 모수를 찾으려면 현재 x의 역행렬이 존재해야 한다는 것이다. (행렬 연산 결과가 보는 거와 같이 역행렬이 존재해야 최적의 (β) 를 계산할 수 있음..) 역행렬이 존재하는 행렬이란? 별거 없었..